스킵네비게이션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5월] 5월, 포모의 소장자료 소개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2024-05-02 25

천황의 은혜에 감사하며, 근로를 생활화 하자


근로보국대(勤勞報國隊) -



국민근로보국표[역사관1267]

경상남도에서 발행한 국민근로보국표. 국민근로보국대에 참가할 시, 반드시 지니고 있어야 하며, 근로보국 협력이 끝나면, 근로보국대 대장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있다. 국민근로보국대에 동원대상이 되면 국민근로보국협력령서를 발부하는데, 이 협령서를 받으면,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참가할 의무를 지도록 하였다.


모든 조선인을 노동시키기 위한 근로보국대

일제가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을 일으키는 과정 중 조선을 통해 식량·잡화 등 상당한 군수물자를 보급하면서, 병참기지로서 조선의 입지가 부상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을 병참기지화하기 위해 식민지 공업화 정책을 모색하였고, 농공병진정책(農工竝進政策)을 거쳐 군수 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대륙전진병참기지화 정책으로 전환하기에 이른다.

일제는 국가총동원법(1938.4.1.)을 시행하면서부터 군수 공업에 필요한 노동력 동원을 본격적으로 강행한다. 총동원법과 각종 통제법령으로 많은 조선인들을 공장과 작업장에 항상 필요한 상시요원을 동원하는 한편, 그에 포함되지 않는 학생이나 여성, 농촌 인력까지도 동원하기 위해, 이들을 임시요원으로 분류하여 근로보국대라는 제도를 실시하였다.

근로보국대는 전 조선의 행정구역과 일반단체, 학교를 기본 단위로 하여 조직되었고. 근로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근로보국운동으로 시작하여, 모든 조선인의 노동 의무화를 내포하는 국민개로(皆勞)운동의 실천조직 역할을 하였다. 근로보국운동의 동원 대상은 조선인의 성별과 계층, 남녀노소를 망라하여 노동 가능한 모든 사람이었다.


피해자 박충원의 강화도 화도면 근로보국대원 단체사진[역사관212]

1943년경부터 근로보국대로 동원되었던 박충원(朴忠遠)의 사진(가운데 줄 오른쪽에서 첫 번째)

사진 속 깃발에는 華道面勤勞保國團(화도면근로보국단)’이라 적혀있다. 근로보국대에는 단기(團旗)가 수여되었는데, 크기는 폭 세자세치(1미터), 높이 두자세치(70센티)이고, 횃불그림이 있으며, 단기의 아랫부분에는 푸른 지평선을 그린 것에 〇〇면근로보국단이라고 새겼다.

 

각 도에서는 근로보국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내(道內) 각종 작업장의 노동력을 수급하였다. 초기에는 전시준비체제 속에서 관알선만으로는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는 정도의 운용이었던 것이 1940년부터는 각 지역별로 특별근로보국대를 조직하여 노동력의 상당부분을 담당케 하였고, 그 동원 범위도 도외(道外)로 점차 넓혀갔다. 1939년부터 만주와 사할린으로는 흥아청년근로보국단과 화태개척근로대, 1940년부터 조선 남부지방에서 북부지방으로는 특별근로보국대, 1941년 일본으로는 조선농업보국청년대라고 명명한 동원의 형태가 있었다.


 

흥아청년근로보국대기념잔 [구입225]


그 운용방식도 근로보국대를 조직한 초기에는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전개와 맞물려 정신동원 즉, 황민화운동의 성격이 강했고, 노동력 활용은 다소 이차적인 성격을 띠었다. 정신노동으로서 각 연맹별로 궁성요배와 신사참배를 하고, 내선일체 정신 등에 관한 강연회 등을 개최하는 한편, 폐품회수 및 근로봉사작업에 노동동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1939년 후반부터 토목·건축 노동력이 부족한 형세를 보이면서 노동력 동원방식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된다. 1941년 이후부터는 근로보국대가 국민개로운동의 실천조직으로서 전국적으로 결성되었고, 단계별로 전면적으로 편성 동원되었다.







*참고자료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50 - .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200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5 일제의 식민통치, 1989

김윤미, 근로보국대 제도의 수립과 운용(1938~1941),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대학원, 2007

김윤미, 總動員體制動勞報國隊를 통한 '國民皆勞' : 조선에서 시행된 근로보국대의 초기 운용을 중심으로, 1938~1941, 한일민족문제연구 14, 한일민족문제연구, 200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보국대(報國隊),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교과서 용어 해설 대륙병참기지화 정책